728x90
반응형

2025/07/01 2

📊 추리통계를 제대로 하려면 꼭 지켜야 할 조건들 (쉽게 설명해봄)

추리통계를 공부하다 보면 “이건 정규분포를 가정한다”, “등분산성을 만족해야 한다” 같은 말들을 자주 보게 된다.이게 무슨 말인지 하나도 안 와닿는다면, 전혀 이상한 게 아니다. 처음엔 다 그렇다.그래서 오늘은 **추리통계를 쓸 때 꼭 필요한 전제 조건(=통계적 가정)**을고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아주 쉽게 설명해보려 한다. ⸻🔍 왜 ‘가정’을 해야 할까?통계는 ’일부 데이터(표본)’를 가지고 ’전체(모집단)’를 예측하는 도구다.근데 아무 데이터나 막 써서 아무 결론이나 내버리면 틀릴 확률이 높아진다.그래서 통계를 쓸 때는 어떤 규칙이나 조건이 만족돼야 한다.이걸 “통계적 가정”이라고 부른다.마치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룰’을 먼저 정하는 것과 비슷하다.⸻1️⃣ 독립성 가정 – 서로 영향을 주면 안..

통계 2025.07.01

회귀분석, 요인분석, 클러스터링 같은 추리 통계의 함정 -추리통계를 사용전 갖춰야 할 조건들

T-test, 아노바 분석, 회귀분석, Heat map, 요인 분석 등 요즘 소위 데이터로 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통용되는 '추리통계'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려면 몇 가지 전제 조건과 상황적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혹은 직장에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추리 통계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이해 없이 무언가 Fancy한 분석이 더 많은 insight 를 뽑아 낼 것으로 믿고 있다. 하지만 추리 통계를 위해서는 꽤나 많은 제약 사항들이 존재하며 이 조건들이 갖춰지지 않으면, 표본에서 도출한 결과로 모집단을 정확히 추론하기 어렵거나, 추론 자체가 통계적으로 무의미해질 수 있다.각각의 통계 분석 마다 차이점은 있지만 범용적으로 지켜야되는 주요 조건들을 정리했다. ⸻📌 추리통계를 사용할..

통계 2025.07.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