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판매 지수 (Automobile sales)
- 자동차 판매량을 보는 지표
- 불황에는 선행 느린 회복에는 동행 혹은 후행 지표 역할을 함
- 자동차 생산은 연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자동차 판매를 보면 경제 전체의 상황을 알 수 있음
- 신차 판매나 리스가 줄어들면 → 장차 실직할까봐 사람들이 움츠려 든다는 의미
- 소비자 심리 지수 (Consumer Sentiment)
- 선행지표, 요즘 경기가 어떻다고 생각하는지 직접 소비자에게 설문조사 한 것
- 지수가 오르면 소비욕구가 넘치고 반대로 내리면 소비를 꺼린다는 의미
- 미국은 '돈을 쓰는 사람들의 나라' 지수가 오르면 소매 관련 업종이 유리
- 이 지수의 문제점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기에 정확성이 떨어지고 변동성도 큼
- 신규주택판매 지수
- 선행지표, 주택이 재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에 전체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 기존주택판매(Existing Home Sales)
- 신규주택판매 (New One Family Houses Sold: United States)
- 주택시장이 활기를 띄면 주식 보유량을 늘리고 반대일 경우 국채나 현금을 보유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신규 실업수당천구건수 : Initial Jobless Claims
-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 Continued Claims (Insured Unemployment)
- 지수 하락에는 후행지수, 지수 상승에는 선행지수
- 실업률 (Unemployment Rate)
- 불황에 후행지표, 경비회복에 동행지표로 활용
- 공포와 탐욕지수 (Fear & Greed Index)
- CNN Money에서 만들고 사용하는 지수, CNN VIX Index(CNN 변동성 지수)
- 시장에 내재된 공포심과 낙관의 상대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 0은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은 극단적인 낙관을 의미
- M2 통화량
- 유통되는 통화와 요구불 예금을 포함
- 한마디로 시중에 자금이 얼마나 많이 풀었는지 확인하는 유동성 지표
@M0 - 민간 보유 현금( 지폐와 동전, Currency) :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지정해서 쓰는 돈
M1 - 협의 통화 = M0 + 비은행 발행인의 여행자 수표 + 요구불예금 + 기타 수표 가능 예금 (OCDs)
M2 - 광의통화 = M1 + 저축성 예금 + 개인을 위한 10만 달러 미만의 정기예금과 단기자금 예금 계좌 (MMA, MMDA)
M3 = M2 + 큰 액수의 정기 예금, 기관의 MMF, 단기 환매가능 자산 및 기타 대규모 유동자산
-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고위험, 고수익을 대표하는 하이일드 채권(High-Yield Bond)은 투자 등급 채권보다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
- 하이일드 채권금리가 상승한다는 의미는 회사채를 안산다는 의미 → 부도위험
- 제조업 PMI 지수는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 OECD 경제선행지수 - Amplitude adjusted (CLI) - 70% 정도 적중
- OECD에서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경제 선행 지수를 발표함
- 컨퍼런스보드 경기 선행 지수 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ic index - LEI
- 전미 산업 심의회에서 발표하는 지수
- 매월 하순 전월 데이터 발표
- 미시건대 소비자기대지수, 제조업 주간 평균 근로시간, 주간 평균 실업수당 청구건수, 소비재 신규 수주, 주문 수량, 배송지연 비율, 신규주택착공, S&P500지수, M2 통화 공금,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로, 비국방 자본재 수주
2016년을 100으로 했을때 10월 지수는 108.2 - 경제 상승 예상
https://www.youtube.com/watch?v=QEyFvmRi0uo
PMI 지수 (Purchasing Manager Index)
마킷(Markit)이라는 회사가 발표하는 PMI 지수, 미국 공급관리자 협회(ISM) 발표하는 PMI 지수 있음
https://ecodemy.cafe24.com/pmi.html
- 중국 차이신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
- 영국 시장조사업체인 마킷과 HSBC 가 만듦
430개 이상 중소기업 대상
50 이상을 확장 52 이하를 수축
한국 수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한국 주식 지표와 비슷하게 움직임
- 중국 통계청이 발표하는 PMI지수 (제조업 지수) - 중국 국영 및 대형 기업 대상
콘퍼런스보드 소비자 심리지수
매달 미국 전역에 약 5천 개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 경기, 고용 그리고 6개월 뒤에 경기, 고용, 수익 등 총 5개 항목을 조사함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500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함
- 현재 재산 상황이 1년 전에 비해서 좋아졌는지? 1년 뒤에는 어떠할지? 미국에 경기가 1년간 어떠할지? 5년간 어떠할지? 가전제품 등의 소비가 지금 사기 적당한 시점인지 등에 대해 조사함
두 개 소비 심리지수가 비슷하며 선행지표로써 역할을 함
https://www.youtube.com/watch?v=N9ZxBKO7KzA
- Credit condition
- July 2020 Senior Loan Officer opinion Survey on Bank Lending Practices
- 75 domestic banks & 22 U.S. branches & agencies of foreign banks
- Commercial & Industrial Loans : easier or harder to get?
- easy credit condition - stock rise vice versa
- BofAML bear market signposts
BOA made
- Fed Funds Rate
- Federal funds rate is the target interest rate set by the FOMC at which commercial banks borrow and lend their excess reserves to each other overnight.
- FOMC sets a target federal funds rate eight times a year, based on prevailing economic conditions.
- The federal funds rate can influence short-term rates on consumer loans and credit cards as well as impact the stock market.
- 은행이 은행한테 돈 빌릴 때 이자율
- 하지만 계속된 저금리 기조로 정책을 펼쳐와서 현재 금리가 매우 낮기 때문에 실효성이 적어 보임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https://www.investopedia.com/terms/f/federalfundsrate.asp
FED data bank
https://fred.stlouisfed.org/series/FEDFUNDS
- Yield Curve Inversion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정책에 장기금리는 경기전망에 영향을 받음
시장이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예상할 경우, 장기금리는 하락함 1)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이 예상 2)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큰 자본이익을 주기 때문에 수요가 몰림 → Curve Flattening
반대로 경기회복 및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장기금리는 상승함 1) 기대 인플레이션 반등 2) 장기 채권 투자에 따른 자본손실 예상으로 장기채권에 대한 수요는 낮아짐 → Curve Steepening
https://blog.naver.com/rldk1249/221683095858
- Vix (CBOE Volatility Index - 변동성 지수)
S&P 500 옵션 가격으로 향후 30일을 보는 것
1993년 미국 듀크대학의 로버트 E. 웨일리 교수가 미국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인다
Vix 지수에 추종하는 ETF 존재 - UVXY (순간적으로 오르고 순간적으로 빠지기 때문에 순간적인 위기에 대응이 중요)
20~30 : 평균 / 40~50 바닥권 집입의 징조로 해석 - 주가 반등
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5HdiRA-loWo
https://www.youtube.com/watch?v=XwKHzgY_pgI
https://www.youtube.com/watch?v=WQfLKoyDdLI
https://www.youtube.com/watch?v=JeetzJVsrC0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57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투자자 책 내용 정리 (0) | 2022.12.09 |
---|---|
벤저민 그레이엄의 방어적 투자자 주식 분석 기준 (0)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