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터 vs 그로스 마케터, 뭐가 다를까? AI 시대에 이들 직무의 전망은?

고물상인 2025. 6. 23. 17:43
728x90
반응형

 

마케팅 직무를 준비하거나 커리어를 설계하는 사람이라면 ‘퍼포먼스 마케터’와 ‘그로스 마케터’라는 용어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업무 범위와 사고방식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게다가 2024년을 기점으로 AI 기반 마케팅 자동화 도구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이 두 직무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직무의 차이점과 필요한 스킬셋, AI로 인한 변화, 그리고 향후 전망까지 함께 정리해보았다.

 

퍼포먼스 마케터란?

퍼포먼스 마케터는 디지털 광고를 통해 정량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고비 대비 전환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 주요 업무

  • Google, Facebook, Naver, Kakao 등 디지털 광고 매체 운영
  • ROAS, CPA, CTR 등 퍼포먼스 지표 관리
  • 크리에이티브 테스트 및 A/B 테스팅
  • 캠페인 성과 분석 및 리포팅
  • 광고 예산과 채널 믹스 전략 수립

🧰 필요한 스킬셋

  • 매체 운영 능력: Google Ads, Meta Ads 등 플랫폼 이해와 실무 경험
  • 성과 분석 능력: GA4, 앱스플라이어, 애드브릭스 등 분석 도구 활용
  • 엑셀 및 자동화 도구 활용 능력: Looker Studio, 스프레드시트 등 데이터 가공 능력
  • 크리에이티브 디렉션 감각: 클릭을 유도하는 소재 기획과 카피라이팅 역량
  • 협업 역량: 디자이너, 대행사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그로스 마케터란?

그로스 마케터는 단순 유입을 넘어서, 유저의 전 생애주기를 최적화하며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로스 해킹’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SaaS, 커머스, 앱 스타트업 등에서 핵심 직무로 자리 잡고 있다.

🎯 주요 업무

  • AARRR 퍼널 기반의 성장 전략 수립 (Acquisition → Referral)
  • 리텐션 개선, 전환율 최적화, 유저 활성화 실험 진행
  • 기능 개선 제안, UX 개선, CRM 전략 기획
  • 데이터 기반 실험 설계 및 KPI 측정
  • 마케팅, 제품, 개발팀과의 긴밀한 협업

🧰 필요한 스킬셋

  • SQL 및 데이터 분석 역량: 고객 행동 분석, 리텐션/코호트 분석
  • 퍼널 최적화 능력: 이탈 구간 분석 및 전환율 개선 전략 수립
  • 실험 설계 능력: A/B 테스팅, 실험군 설계, 가설 수립
  • 제품/UX 이해력: 유저 경험 기반의 기능 개선 제안
  • 기술 협업 역량: 기획자 및 개발자와의 협업 능력

한눈에 보는 비교표

항목퍼포먼스 마케터그로스 마케터

주요 목표 광고 효율 (ROAS, CPA) 전체 유저 여정 성장
주요 지표 ROAS, CTR, CVR LTV, 리텐션, 전환율, ARPU
담당 영역 Paid Media (광고) 유입~이탈 전 과정
핵심 툴 Google Ads, Meta Ads, GA SQL, CRM, Firebase, Tableau
요구 능력 광고 세팅/운영, 크리에이티브 테스트 퍼널 분석, 제품 이해, 실험 설계
협업 부서 디자이너, 광고 대행사 제품팀, 개발팀, 데이터팀

 

 

AI 시대의 도래, 두 직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 퍼포먼스 마케터의 변화

  • PMax, Advantage+, 자동 입찰 전략 등 AI 기반 캠페인 운영이 보편화되었다.
  • 광고 세팅보다 미디어 믹스 전략 설계, 크리에이티브 방향성 제시 역량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 퍼포먼스 마케터는 점차 미디어 플래너 혹은 Growth Acquisition Strategist 역할로 전환되고 있다.

🤖 그로스 마케터의 변화

  • 고객 여정 분석, 코호트 분석, LTV 분석 등에서 AI 기반 자동화 도구가 적극 도입되고 있다.
  • 실험 설계와 세그먼트 분류에 ML/AI 활용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 노코드 데이터 분석 도구가 확산되며, 도구 자체보다 인사이트 도출 역량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2025년 이후 전망은?

항목전망 요약

퍼포먼스 마케터 자동화 영향으로 단순 매체 운영 수요는 감소하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미디어 기획, 브랜딩 역량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로스 마케터 SaaS, 구독 서비스, 앱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전략 수립 + 데이터 분석 역량을 겸비한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공통 트렌드 AI 기반 툴 숙련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 기술 부서와의 협업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마무리하며: 성과만 보는 시대는 끝났다

 

단순히 클릭 수나 전환 수를 높이는 퍼포먼스 마케터도,

유저 여정을 설계하고 실험을 주도하는 그로스 마케터도,

이제는 단기적인 숫자보다 유저 중심의 사고방식과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역량이 요구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AI는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지만, 진짜 가치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실험을 설계하는 인간의 통찰력에서 비롯된다.

앞으로는 ‘무엇을 실행했는가’보다 ‘무엇을 왜 실행했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 마케터가 주목받게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